본문 글은 책 '영화로 읽는 서양 철학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철학 여행의 출발지
왜 철학에 대해 알고 싶어 했을까? 그 계기를 좇아가보면 미래에 대한 불안한 마음을 어떻게 철학으로 해결할 수 없을까? 라는 마음에서 출발했다. 다양한 불안이 존재하고 이거를 타파할 사고방식이 철학에 녹여있지 않을까하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에게 있어 철학의 이미지는 사고`思考`의 발전이라고 생각했다. 어느 순간부터 그렇게 생각이 굳혀졌고 그 계기를 알아내기에는 어렵지만 확실히 '철학책을 읽어보자'라고 마음이 들게 된 확실한 이유가 존재했다.
바로 최근에 솔로몬이라는 인물을 알게 되었고 이 인물의 현명한 판단과 통찰력에 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시대와 문화를 초월하여 오늘날까지도 계속해서 언급되는 솔로몬이 어떤 생각을 하였는지 알고 싶어서 서양철학사에 대해서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즉 나는 철학적인 사고를 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이 내 뇌를 차지했다.
그렇게 철학책에 대한 역사를 쉽게 알 수 있는 만화책을 읽어보려고 시작했지만… 철학적인 사고를 해줄 수 있는 발판이 아니라 단순히 철학사에 대한 지식만 알려주는 느낌을 받았고 이것이 내가 원하던 느낌과 방향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히 알았다.
하지만 이런 '철학적인 사고를 해보고 싶다'라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 나뿐이었을까? 아니었을 것이다. 많은 철학자가 존재하듯이 철학적인 생각을 해보고 싶은 사람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일단 막연하게 유튜브에서 철학책 추천을 검색해 보았다. 그렇게 드디어 철학이 무엇인지 철학적인 사고를 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두루뭉술하지 않고 '확실하게' 알려주는 책을 “철학,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충코의 철학”이라는 영상을 통해 드디어 찾게 되었고, 이것은 내가 죽는 날까지 인생 책으로 남을 것 같다.
그 책은 바로 영화로 읽는 서양 철학사이다.
오해해도 괜찮은 이유, 철학이란 무엇일까?
오해란 무엇인가? 사전적 의미는 바로 무엇이 가진 뜻을 잘못 이해하거나 또는 잘못 풀이한다는 뜻이다. 돌이켜보면 잘못된 사실을 알고 있거나 잘못되게 이해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항상 무언가가 두려웠던 거 같고 '지식을 초반부터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강박'이 존재했다. 그래서 무언가 배울 때 단계식으로 배우는 거를 선호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딥러닝의 데이터가 행렬로 이루어져 있고 그 행렬들의 연산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면 선형대수학부터 배워야 하는 것이다.
왜 잘못 이해하는 것에 대해 두려워진 걸까? 그런 마음이 생기게 된 계기는 초등학생 때의 토론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내가 주장한 후 반론이 나오고 그 반론에 대해 재반론을 하지 못한 그 순간이 숨이 턱 막힐 만큼 떨렸기 때문이다. 결국 오해를 하면 안 돼서는 환경에 놓이고 그런 압박감을 통해서 초반부터 완벽하게 잡아놔야 한다는 강박이 생기게 되었고, 나는 아직도 토론을 생각했을 때 부정적인 느낌이 들곤 한다.
결국 왜 오해해도 괜찮은 것인가? 그것은 철학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면 당연한 것이 된다.
철학의 정의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p24 그림 인용
철학은 생각에 대한 생각이다. 흔히 '비판적인 사유(생각)'라고 짧게 말하기도 한다. 생각에 대해 다시 생각 비판적 사고, 즉 철학함으로써 자신들의 오해를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이 철학적 사고이고, 또 그런 사고 활동이 정확히 철학이다.
철학적 사고 과정 (예1)
책에서는 〈드래곤 길들이기〉를 통해 생각에 대해 다시 생각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비유한다.
영화 〈드래곤 길들이기〉에서 사람들은 생활을 위해서 드래곤들과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한다. 하지만 때때로 그런 생각들 자체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된다. 왜? 문제가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원인이 잘못된 생각에 있기 때문이다. … 주인공 히컵은 한마리의 드래곤을 죽이는 것을 택하지 않고 드래곤과 친구가 되며 어디로든 타고 같이 날아갈 수 있는 드래곤을 얻게 되었다. 생각에 대한 생각, 즉 철학적 사고를 통해서 주인공 히컵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하지만 훨씬 더 좋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결국 철학적인 사고의 과정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Step | 예시 |
문제 Problem | 마을을 덮쳐서 가축들을 잡아가는 드래곤 |
생각 Thought | 생활을 위해서 드래곤들과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 생각한다. |
생각에 대한 생각 |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을 깨닫고 드래곤들과 싸우는 것에 대해서 생각한다. 결국, 드래곤과 친구가 되는 길을 선택한다. |
결론적으로 우리는 이런 지혜를 얻게 된다.
오해를 해도 괜찮다. 철학을 통해서 오해의 생각을 충분히 바꾸면 되니까.
이 책의 '책머리'조차 처음부터 오해로부터 시작해도 상관없다는 마인드가 내재되어 있는데 그러한 마인드를 가질 수 있는 이유가 쉽게 납득이 되었고, 사실을 잘못되게 기억할까봐 두려운 그 관점과 생각이 깨지게 되었다.
철학적 사고 과정 (예2)
그런데 사실은 생각해 보면 생각에 대한 생각이 처음 보는 이론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생활에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었다. 나 같은 경우 python 언어에서 numpy array를 공부할 때 axis=0, 1, 2….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알 필요가 있었다. 이거를 그림으로 그리거나 생각을 통해서 떠올리면 이해가 쉬웠는데 처음에는 이렇게 생각했다.
numpy array 에서 axis 를 생각한 방식의 변화
처음에는 axis=0 을 흔히 x 축으로 생각하고 axis=1 을 y 축으로 생각했다. 틀렸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이해에 있어서 어려운 방식으로 그린 것은 맞다.
import numpy as np
a = [[1, 2],
[1, 2]]
a = np.array(a)
Python
복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numpy 객체 a 가 있다고 해보자.
numpy 객체 a의 axis 를 파악하기 위해서 기존 방식은 2차원 행렬을 90도로 회전해서 생각해야 했다. 그런데 이 방식은 행렬의 axis 를 떠올리는데 있어서 효율적이지 않다. 그래서 2차원 행렬 a 에 그대로 axis 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그렇게 되면 굳이 회전할 필요 없이 그대로 행렬을 두고 axis 를 생각하면 된다.
이거를 철학 생각에 대한 생각에 비유하자면 다음과 같다.
Step | 예시 |
문제 Problem | 2차원 행렬의 axis = 0, 1, 2 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파악한다. |
생각 Thought | axis 0을 x축으로, axis 1을 y축으로 생각한다. |
생각에 대한 생각 | 이해에 있어서 효율적인 방식인가라는 물음을 던진다. 그 결과, 2차원 행렬에 그대로 axis 를 적용하는 방식을 생각해 낸다. |
서양철학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를 깨닫는 시발점
최근에 뮤지컬에 관해 관심이 생겼는데 그 이유가 뮤지컬 **시카고**에서 다음 가사 부분을 듣고 나서이다.
…(5:23 시작)
They had it coming, they had it coming
걔들이 자초한 거야, 걔들이 자초한거야!
They had it coming all along!
처음부터 끝까지 걔들 잘못이야!
…(6:22 시작)
The dirty bum, bum, bum, bum, bum!
그 더러운 자식, 자식, 자식, 자식, 자식!
The dirty bum, bum, bum, bum, bum!
그 더러운 자식, 자식, 자식, 자식, 자식!
다음 노래 두 부분뿐만 아니라 앙상블처럼 각자의 노래가 합쳐지는 부분이 많다. 뮤지컬 시카고를 듣고 난 생각은 기계적으로 노래를 부르는 느낌이 아니라, 서로 주고받거나 쌓아가면서 노래하는 것이 마치 노래가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생동감 있게 느껴졌다. 그래서 다른 뮤지컬 작품은 어떨까? 라는 기대감이 생기게 되었고 뮤지컬에 대해서 더 알고 싶어서 대학 교양 수업으로 '뮤지컬의 세계'를 수강하게 되었다.
근데 왜 갑자기 뮤지컬의 이야기를 꺼냈을까? 그 이유는 서양철학사를 왜 알아야 하는지 그 이유를 깨닫는 시발점이 이 뮤지컬 시카고에 대한 관심이기 때문이다.
뮤지컬의 세계 수업에서 들은 뮤지컬의 역사
철학사에 대한 지식은 철학 공부의 시작에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철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과정에서도 중요하다. 이것은 마치 영화를 이해하려는 사람이 영화사, 즉 영화의 역사를 알 필요가 있는 것과 같다.
〈영화로 읽는 서양 철학사 p18〉
이 글을 보고 대학 교양 수업인 '뮤지컬의 세계'에서 배운 역사가 떠올랐다.
뮤지컬의 역사가 오페라부터 시작되었다. 18세기 프랑스 비극 오페라 장르인 서정 비극은 귀족들이 지지하는 장르였으며, 이탈리아 대표적 비극 오페라 장르인 오페라 세리아의 영향을 받아 창작되었다. 반면에 평민들의 일상적인 삶을 소재로 다루는 이탈리아 희극 오페라인 오페라 부파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식 희극오페라 오페라 코미크가 창작되는데 이 장르는 중산 계급과 평민이 지지하던 장르였다. 여기서 비극 오페라에 해당하던 프랑스 서정 비극 파와 희극 오페라에 해당하는 이탈리아 오페라 부파 중 무엇이 진정한 오페라인지 프랑스 내에서 글로 비평하는 논쟁이 일어났다고 한다.
이 내용을 알게 되면 뮤지컬이 서로 다른 계층이 대립하면서 독창적인 장르가 창작되고 발전해 왔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뮤지컬에 대한 이해도 깊이가 달라진다.
처음에는 시카고 그 자체 작품에 관심이 있었다면 뮤지컬의 역사를 엿보면서 뮤지컬 전체 작품을 관통하는 무언가에서 시카고 작품을 엿본다면 어떨지가 궁금해진다. 뮤지컬 작품 자체만 아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역사적 요소가 결합되어서 발전해 온 과정을 알게 된다면 시카고 작품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가능하지 않을까?
뮤지컬의 역사를 앎으로써 뮤지컬에 대해서 더 깊이 알 수 있었던 것처럼, 철학사를 알게 되면 철학에 대해서 더 깊이 알 수 있지 않을까
결국 ‘철학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
basic
우리가 무언가 깊이 이해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그 무언가가 발전해온 과정을 알아야 한다.
2.
그것이 다른 것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철학
목표: 칸트의 철학을 잘 이해하자.
1.
철학의 물음이 어디에서 왜 시작되었는지 알아야 한다.
2.
칸트 생각 이후에 사상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알아야 한다.
왜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에 대해서 알아야 할까?
1번 같은 경우 바로 이해가 된다. 철학자 칸트가 어떤 생각을 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이전에 어떤 역사적 흐름이 있었는지 알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언어의 장벽이 존재하는 흐름속에서 살고 있다. 그런데 QSMP 라는 마인크래프트 서버가 존재하는데 실시간 번역 기능이 마인크래프트 게임에 적용되어 세계 여러 사람이 모여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몰라도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결국 언어의 장벽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했다면 그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의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칸트도 마찬가지이다. 칸트의 생각은 갑자기 생겨난 것이 분명히 아닐 테고 이전에 문제가 되는 어떤 사회적 배경이 존재하고 그거에 대해서 생각을 터놓았을 가능성이 높다. 결국 이런 '흐름'을 알 수 있는 곳이 철학사이다.
2번의 경우 철학이 무엇인지 안다면 바로 이해가 된다. 철학은 생각에 대한 생각이었다. 칸트 철학이 근대 철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칸트 철학(생각)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했는지 안다는 것은 결국 철학 정의와 맞물린다. 결국 철학사를 잘 안다는 것은 철학적인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비로소 우리가 얻는 것은 '생각의 지도'
어떻게 철학 공부를 해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해서 답을 이렇게 찾을 수 있다. 어떻게 복잡한 생각들 속을 찾아다니면서 원하는 대로 길 찾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가? 가장 좋은 방법은 복잡한 생각들 속을 여행해 보는 것이다. 세계를 많이 여행해 본 사람이 낯선 곳에서 길을 찾는 능력은 산골 마을 안에서만 안주한 사람보다 훨씬 나을 것이다. … 그렇다면 그렇게 철학 공부를 하기 위해서 여행할 만한 복잡한 생각들의 세상은 어디에 있는가? 그것은 역시 철학자들의 생각들로 이루어진 세상이다. 특히 서양철학사가 주된 여행지이다. … 철학을 배우면서 우리가 얻는 것은 사실상 지식이 아니라 ‘능력’이다. 어떤 것에 대해서든 더 올바르게 생각하고 그래서 더 잘할 수 있는 능력이다.
결국 저자는 서양철학사를 여행해 보면서 이렇게 생각하면 어떻게 되고 저 길을 가면 어떤 결과에 이르는지를 알 수 있는 생각의 지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올바른 길을 찾는 능력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처음에 던진 물음이 "다양한 '불안'을 철학을 통해 잠재울 수 있을까"였다. 우리는 왜 불안을 느낄까? 과거 철학자들은 불안에 대해서 문제점으로 삼으며 그 불안에 대한 생각을 논했을까?
불안이 무엇인지, 어디로 비롯되는지 아직은 답하기에는 어렵지만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계속해서 이 책을 볼 것이다.